본문 바로가기

야옹이 music box64

음악 유튜브 채널 운영, 수익화 노하우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 유튜브에 주목하는 건 단순히 홍보 때문만은 아니다. 잘만 운영하면 지속적인 팬 유입과 수익화 구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상 퀄리티가 좋다고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의 기획력, 일관성, 수익 구조 이해가 핵심이다.콘텐츠 유형부터 명확히 정하자음악 채널이라 해서 다 같은 방식은 아니다. 처음 시작할 땐 콘텐츠 포맷을 명확히 고정하고, 일관된 흐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다.커버 영상 중심: 인기 있는 곡을 나만의 스타일로 재해석작업 브이로그형: 녹음, 믹싱, 공연 준비 과정을 자연스럽게 공개음악 리뷰형: 신보, 뮤직비디오, 아티스트 분석 콘텐츠자작곡 공개형: 정기적으로 나의 곡을 소개하며 피드백 받기 이 중 1~2가지를 중심으로 시작한.. 2025. 4. 15.
아티스트 브랜딩, 자신만의 음악 색깔을 만드는 법 수많은 아티스트 중 기억에 남는 사람은 단순히 노래를 잘해서가 아니다. 그 사람의 색깔이 뚜렷하고, 음악 안에 철학과 이미지가 녹아 있기 때문이다. 브랜딩은 더 이상 마케팅 전략만이 아니다. 자신을 하나의 '예술 세계'로 정의하고 구축하는 일이다.나는 어떤 아티스트인가, 정의부터 시작하자음악을 시작할 때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는 ‘어떤 장르를 해야 할까요?’다. 하지만 더 본질적인 질문은 ‘나는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은가?’이다. 장르는 옷일 뿐, 중요한 건 그 안에 담긴 정체성이다.좋은 브랜딩은 음악과 이미지, 활동 전반에 걸쳐 일관성이 있다. 로고, 비주얼 톤, 곡의 무드, 인터뷰 톤까지 하나의 감정선으로 이어질 때, 비로소 청중에게 '이 아티스트는 이런 사람이다'라는 인식이 생긴다.자신만의.. 2025. 4. 14.
AI 작곡과 인간 작곡, 감성 차이는? 인공지능이 음악을 만드는 시대. AI 작곡 툴은 이미 상용화되었고,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AI가 만든 곡들도 점점 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묻는다. AI 음악, 감동이 있을까? 이 글은 30년 이상 작곡과 제작 현장을 경험한 전문가로서, AI 작곡과 인간 작곡의 구조적, 감성적 차이를 정리한 것이다.구조는 비슷해도 온도는 다르다AI 작곡은 방대한 음악 데이터를 분석해 확률 기반으로 멜로디, 코드, 리듬을 조합한다. 이는 패턴의 반복과 확장으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논리적으로는 완벽하지만, 인간적인 '틈'이 없다. 변주, 리듬의 늦춤, 감정의 드라이브 등은 의도보다는 데이터 패턴에 의존한다.반면 인간 작곡은 경험과 기억, 무의식적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다. 기억에 남는 멜로디에는 반드시 감정.. 2025. 4. 13.
2025년, 음악은 어디로 향할까? 30년간 음악 시장을 지켜보며 느낀 건 하나다. 변화는 예상보다 빠르고, 대세는 조용히 찾아온다. 2024년까지의 흐름은 레트로의 귀환과 실험적인 사운드의 공존이었다. 이제는 그 다음 단계를 준비해야 할 때다.1. 음악이 변하고 있다, 청취도 변하고 있다사람들은 더 이상 곡 전체를 듣지 않는다. 30초 안에 감정을 건드리지 못하면 스킵된다. 틱톡과 릴스의 영향으로 짧고 강렬한 임팩트를 지닌 곡이 인기를 끌며, 장르의 경계도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감정을 오래 끌고 가는 음악’보단, ‘한 번에 꽂히는 사운드’가 주목받는다. 이건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다. 음악 소비 방식 자체가 바뀌었다는 신호다.2. 주목해야 할 장르 5가지2025년, 우리가 주목해야 할 장르들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기존 장르의 변주와 .. 2025. 4. 12.
스트리밍 플랫폼별 음질 차이, 가장 좋은 음질은? 음질도 선택 기준이 되는 시대, 어떤 플랫폼이 음악을 가장 잘 들려줄까?스트리밍 중심의 음악 소비가 자리 잡은 요즘, 단순한 곡 수나 UI만큼이나 ‘음질’도 플랫폼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음악 업계에 30년 넘게 몸담으며 다양한 스튜디오와 시스템을 경험한 결과, 플랫폼마다 음질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청취 환경에 따라 더욱 명확히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외 주요 스트리밍 서비스의 음질을 비교 분석하고, 어떤 플랫폼이 가장 뛰어난 음질을 제공하는지를 실사용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음질 기준kbps(bit rate)와 압축 포맷(FLAC, AAC 등)청취 환경고급 이어폰·헤드폰, DAC, Wi-Fi 환경일수록 차이 체감↑가장 고음질로 평가받는 플랫폼은 TIDAL입니.. 2025. 4. 11.
K-POP이 AI 음악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 인공지능과 K-POP, 새로운 창작의 시대가 시작되다K-POP은 항상 시대를 앞서가는 실험과 기술을 받아들이며 성장해왔습니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기술은 단연 인공지능(AI)입니다. AI는 단순히 편의를 위한 도구를 넘어서, K-POP의 창작과 제작, 유통, 마케팅 과정 전체를 혁신하고 있습니다. 음악 업계에서 30년 이상 활동하면서 수많은 아티스트와 함께하며 느낀 건, 기술은 음악가에게 위협이 아니라 확장의 기회라는 점입니다. AI는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창의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파트너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K-POP 업계가 실제로 어떻게 AI를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가능성이 어디까지 열려 있는지를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적용 분야작곡, 보컬 합성, 퍼포먼스 분석, 팬과의 인터랙.. 2025. 4. 10.